-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Commit
This commit does not belong to any branch on this repository, and may belong to a fork outside of the reposi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Showing
4 changed files
with
17 additions
and
17 deletions.
There are no files selected for viewing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Original file line number | Diff line number | Diff line change |
---|---|---|
|
@@ -15,13 +15,13 @@ | |
<span class="number">1</span>. <span class="property">듣는</span> 사람들에게 <span class="type">Combine</span> 지원 안하고 -> <span class="type">Swift Concurrency</span> | ||
</code></pre><p>기존 내용을 다 설명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서 정리한 내용으로 대체 하였습니다.</p><p>기존 내용을 듣고 세부적으로 피드백을 해주시고, 추가적인 아이디어도 제시를 해주셨습니다.</p><p>어느정도 감을 못잡고 있을때, 리이오님 덕분에 많은 부분을 해결하고 밤을 새서 v3를 만들었고</p><p>10월 8일날 2차 리허설이 시작 되었습니다.</p><p>2차 리허설 이후에는 내용에 관한 더욱 상세적인 피드백을 주셨습니다.</p><p>기존 EObject 원리에 대한 피드백과 iOS 개발자 관점에서 설명해주는 것이 어떤지,</p><p>갑작스럽게 들어가는 Layout에 대한 내용을 천천히 들어가는것이 어떤지, 기존 도입부를 바꿔보는 것이 어떤지 (다른 크로스 플랫폼과의 비교), 발표를 진행하기 위해서 궁금증을 끌어내고 진행하는 것이 좋을것 같다는 의견</p><p>그리고 발표자료의 비어보이는 과정에 대한 내용에 관련하여도 세부적으로 피드백을 받게 되었습니다.</p><p>총 94 페이지를 다시 만들고 진행하였으나, 똑같이 시간이 부족하게 측정이 되어서, 내용을 계속 추가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좀 내용을 깊게 정리하고 시간을 줄이는게 맞을거 같다고 판단이 들어서 오거나이저 분들과 상의하여 타임테이블을 20분으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p><p>그리고 이제 남은것은?</p><p>피드백을 바탕으로 계속 수정.. (평균 ppt 1번당 100장)</p><p>그렇게 총 6번의 수정을 끝으로 발표 자료를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v1은 삭제되서 못찾았습니다.. ㅠㅠ)</p><img src="https://github.com/jihoonahn/blog/assets/68891494/7a4ffbc5-e934-4aab-9846-553f81bb81ba"></img><h2>발표 시작</h2><p align="center"> | ||
<img width = 70% src="https://github.com/jihoonahn/blog/assets/68891494/728042d8-54dc-441f-abb5-aca951338a0c"></img> | ||
</p><p>저의 발표는 2시40분에 <code>대화의실 2</code>에서 진행되었습니다.</p><p>바로 전 발표가 당근마켓 팀이다 보니, 더욱 긴장한 채로 발표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p><img src="https://github.com/jihoonahn/blog/assets/68891494/3e6a4067-906a-4b8a-bdb9-f410a912d775"></img><p>이전 발표가 끝나고 발표실로 들어갔을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발표를 보러 와주셔서 많이 긴장했지만 감사한 마음으로 진행하였습니다.</p><p>막상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 되니, 머리속이 하얗게 변하면서 실수 할까봐 대본을 보면서 발표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p><p>발표는 이런식으로 구성이 되었습니다.</p><pre><code> <span class="number">1</span>. <span class="type">Swift로 Cross Platform을</span> 하게된 배경 | ||
<span class="number">2</span>. <span class="type">What</span> <span class="keyword">is</span> <span class="type">Scade</span> | ||
<span class="number">3</span>. <span class="type">Scade는</span> 무엇을 제공해줄까요? | ||
<span class="number">4</span>. <span class="type">Scade</span> 설정 방법 | ||
<span class="number">5</span>. <span class="type">Scade</span> 시작해볼까요? | ||
<span class="number">6</span>. <span class="type">Scade는</span> 어떻게 동작해요? | ||
<span class="number">7</span>. <span class="property">마무리</span> | ||
</p><p>저의 발표는 2시40분에 <code>대화의실 2</code>에서 진행되었습니다.</p><p>바로 전 발표가 당근마켓 팀이다 보니, 더욱 긴장한 채로 발표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p><img src="https://github.com/jihoonahn/blog/assets/68891494/3e6a4067-906a-4b8a-bdb9-f410a912d775"></img><p>이전 발표가 끝나고 발표실로 들어갔을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발표를 보러 와주셔서 많이 긴장했지만 감사한 마음으로 진행하였습니다.</p><p>막상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 되니, 머리속이 하얗게 변하면서 실수 할까봐 대본을 보면서 발표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p><p>발표는 이런식으로 구성이 되었습니다.</p><pre><code><span class="number">1</span>. <span class="type">Swift로 Cross Platform을</span> 하게된 배경 | ||
<span class="number">2</span>. <span class="type">What</span> <span class="keyword">is</span> <span class="type">Scade</span> | ||
<span class="number">3</span>. <span class="type">Scade는</span> 무엇을 제공해줄까요? | ||
<span class="number">4</span>. <span class="type">Scade</span> 설정 방법 | ||
<span class="number">5</span>. <span class="type">Scade</span> 시작해볼까요? | ||
<span class="number">6</span>. <span class="type">Scade는</span> 어떻게 동작해요? | ||
<span class="number">7</span>. <span class="property">마무리</span> | ||
</code></pre><p>총 99장의 ppt로 진행 되었습니다.</p><p>첫번째 목차에서는 제가 Scade를 접하게 된 배경을 말하면서, 저와 비슷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Scade를 시도해 볼만하다 생각이 들게 하는 것이 목적으로 진행하였고,</p><p>2,3번은 Scade가 무엇인지이고 무엇을 제공해주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그리고 Scade같은 경우는 전용 IDE를 사용해야해서 4번에 대한 내용은 어쩔 수 없이 포함하게 되었습니다.</p><p>5번에서는 프로젝트 생성 방법과 코드를 보면서 각각 어떤 역할 처럼 진행 되는지 그리고 간단한 예시 프로젝트를 준비하여 Scade에 대한 어느정도 감을 잡기 위한 토대를 만들었습니다.</p><p>그리고 Deep Dive에 관한 내용을 6번째인 "Scade는 어떻게 동작해요"라는 부분에 빌드 시스템과 Scade에서 어떻게 JVM과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서 최대한 넣어보았습니다.</p><p>마무리로는 아직 Scade의 상황과, 추후 Scade가 말하는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면서 발표를 끝냈습니다.</p><p>(TMI) 이전 발표를 연습하면서 24분 정도로 측정이 되서 내용이 초과되겠다 싶었지만, 발표 자리에서 너무 긴장하면서 말이 빨라져 정확하게 20분을 맞춘.. 에피소드도 있습니다.</p><h2>발표가 끝나고</h2><img width=100% src="https://github.com/jihoonahn/blog/assets/68891494/ba4224d2-c79a-42d0-bfc5-869d1c12da75"></img><p>준비해둔 PPT가 끝이나고, Q&A 시간이 시작되었습니다.</p><p>TMI를 하자면, 제가 귀가 좀 안좋아서 다른 사람이 말할때 두번 이상 들어야할때가 있는데, 이게 LetSwift에서 Q&A를 할 때 귀가 안좋은 것 때문에, "혹시 질문을 다시 말씀해 주실수 있나요?" 라고 말을 하게 되었습니다.</p><p>기존 내용에서 3개 정도 질문을 받고 발표를 마치게 되었습니다.</p><p>발표를 전부 마치고, 좀 많이 떨어버린 것 때문에 많은 걱정과 함께, 7일 내내 발표 자료만 수정하고 하던 시간이 지나서 이제 발표가 끝났다 라는 안도감이 함께 섞인 기분이였습니다.</p><h2>느낀점</h2><p>솔직하게 LetSwift라는 큰 자리에 대한 부담감도 있었고, 발표를 진행하면서 떨기도 하고 그런 부분에서 아쉬움이 많이 남았습니다.</p><p>처음 리허설을 진행해보고, 비록 그래도 실수가 있었지만 꽤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으며, 오거나이저 분들이 많이 도움을 주셔서 그래도 성공적으로 발표를 끝마칠 수 있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p><hr><p><strong>군대 가기전</strong> 마지막 발표로 LetSwift에서 발표하게 되어 크나큰 경험을 하게 되었다고 생각을 합니다.</p><p>좋은 자리를 마련해주신 오거나이저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이번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p></div></div><div class="mx-auto w-[85%] text-left mt-8 md:w-[700px]"><div class="flex justify-between mt-6"><div><ul class="m-0"><li class="inline-block mr-1.5"><a href="https://blog.jihoon.me/tags/recollection" class="block my-1 px-1.5 py-2 bg-neutral-900 text-white rounded-lg transition duration-200 ease-in-out hover:bg-zinc-300 hover:text-black">Recollection</a></li><li class="inline-block mr-1.5"><a href="https://blog.jihoon.me/tags/announcement" class="block my-1 px-1.5 py-2 bg-neutral-900 text-white rounded-lg transition duration-200 ease-in-out hover:bg-zinc-300 hover:text-black">Announcement</a></li></ul></div><button aria-label="link share" class="copyPost m-1 w-9 h-9 p-1.5 bg-blog-c-button rounded-full hover:bg-gray-300 transition duration-200 ease-in-out"><img src="/static/icons/copy.svg" class="my-0"/></button></div></div><div class="flex flex-col-reverse px-4 mt-11 mb-4 max-w-3xl mx-auto md:flex-row md:px-0"><div class="min-w-0 flex-1 mt-4 md:mt-0"><a href="/blog/publish-part-3" class="flex cursor-pointer rounded-[10px] bg-blog-c-preview-page w-full h-full p-4 min-h-[4.2rem] items-center"><div class="flex-1 flex flex-col leading-none min-w-0 items-start"><p class="text-gray-500 m-0.5">Preview Post</p><h3 class="text-black text-2xl font-medium m-0.5">Publish 사용하기 part 3</h3></div></a></div><div class="min-w-0 flex-1 mt-4 md:mt-0 md:ml-8"></div></div><script src="https://utteranc.es/client.js" repo="jihoonahn/blog" issue-term="pathname" label="comments" theme="github-light" crossorigin="anonymous" async></script></article></section></main><footer class="bg-blog-c-footer relative"><div class="flex flex-wrap justify-between p-1 mx-auto max-w-4xl"><div class="text-sm mx-3 my-auto p-2"><div><p class="text-stone-600 my-0">Copyright © <a href="https://github.com/jihoonahn" class="text-stone-700">Jihoonahn</a></p></div><div><p class="text-stone-600 my-0">Made with Swift</p></div></div><div class="mx-2"><ul class="inline-flex gap-4 list-none"><li class="text-center w-4 h-4"><a href="https://github.com/jihoonahn"><img src="/static/icons/github.svg" class="w-full h-auto rounded-none"/></a></li><li class="text-center w-4 h-4"><a href="https://www.linkedin.com/in/ahnjihoon/"><img src="/static/icons/linkedin.svg" class="w-full h-auto rounded-none"/></a></li><li class="text-center w-4 h-4"><a href="mailto:[email protected]"><img src="/static/icons/envelope-solid.svg" class="w-full h-auto rounded-none"/></a></li><li class="text-center w-4 h-4"><a href="https://blog.jihoon.me/feed.rss"><img src="/static/icons/rss-solid.svg" class="w-full h-auto rounded-none"/></a></li></ul></div></div></footer><script>(function(){ | ||
function attachEvent(selector, event, fn) { | ||
const matches = typeof selector === 'string' ? document.querySelectorAll(selector) : selector; | ||
|
Oops, something went wrong.